단순 노동자의 정년은 몇 세 까지일까요?! 65세가 과연 정년일까요?! 대법원의 입장은?!
- 판례 정리 모음/계약 채권 판례
- 2020. 4. 15. 23:35
다수의견의 입장은 이렇습니다.
대법원은 1989. 12. 26. 선고한 88다카16867 전원합의체 판결(이하 ‘종전 전원합의체 판결’이라 한다)에서 일반육체노동을 하는 사람 또는 육체노동을 주로 생계활동으로 하는 사람(이하 ‘육체노동’이라 한다)의 가동연한을 경험칙상 만 55세라고 본 기존 견해를 폐기하였습니다.
그 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육체노동의 가동연한을 경험칙상 만 60세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를 유지하여 왔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사회적·경제적 구조와 생활여건이 급속하게 향상·발전하고 법제도가 정비·개선됨에 따라 종전 전원합의체 판결 당시 위 경험칙의 기초가 되었던 제반 사정들이 현저히 변하였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견해는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만 60세를 넘어 만 65세까지도 가동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경험칙에 합당합니다.
즉, 단순 노동자의 정년이 65세임을 대법원이 인정한 것입니다.
이러한 대법원의 입장에 대해, 대법관 조희대, 대법관 이동원의 별개의견은 아래와 같습니다.
60~64세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약 60% 정도이고, 그 연령대 이후 사망확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점,
특히 피해자가 어릴수록 위 연령대에 이르지 못하고 사망할 확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는 점,
일반적인 법정 정년 및 연금 수급개시연령이 2018년 현재 63세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점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하면, 통상의 경우 만 63세까지 경제활동을 한다고 보는 것이 상당하고, 결국 평균여명, 경제활동참가율, 사회보장제도와의 연관성 등을 적절히 반영한
만 63세를 육체노동의 적정 가동연한이라 볼 수 있을 것이라는게 이들의 별개의견입니다.
대법원은 경험칙상 가동연한에 관하여 포괄적인 법리를 제시하는 데에 그쳐야 하고 특정 연령으로 단정하여 선언해서는 안 됩니다.
현재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만 65세 또는 만 63세로 단정하여 선언할 수 있을 만큼 경험적 사실에 관해 확실한 변화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 피해자의 건강상태 등 개인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가동연한을 일률적으로 정하는 것이 경험칙이라고 할 수도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달리 인정해야 할 경험적 사실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대법원이 경험적 사실을 조사하여 전원합의체 판결로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특정하여 선언하는 것이 적정한지도 의문입니다.
하급심 판결들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에, 대법원이 통일적 기준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이 통일적 기준을 제시하는 방법은 다수의견의 입장은 이렇습니다.
과 같이 일률적으로 가동연한을 만 65세라고 단정하여 선언하는 방식이 아니라, ‘육체노동의 일반적인 가동연한을 만 60세 이상이라고만 제시하고 만 65세로 인정한 별개의 사건에서 사실심 판결이 옳다고 판단하는 방법’으로 충분합니다.
사실심 법원이 일실수입 산정의 기초가 되는 가동연한을 인정할 때에는, 국민의 평균여명, 경제수준, 고용조건 등의 사회적·경제적 여건 외에 연령별 근로자 인구수, 취업률 또는 근로참가율 및 직종별 근로조건과 정년 제한 등 제반 사정을 조사하여 이로부터 경험칙상 추정되는 가동연한을 도출하거나 피해자의 연령, 직업, 경력, 건강상태 등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해야 합니다.
, 가동연한을 인정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대법원 2019. 2. 21. 선고 2018다248909 전원합의체 판결 손해배상(기) > 종합법률정보 판례)
'판례 정리 모음 > 계약 채권 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의 이사가 시중 가격보다 매우 낮은 가격으로 새로운 주식을 발행한 경우 업무상배임죄가 성립할까? (2) | 2020.04.09 |
---|---|
내가 한 인테리어가 아니어도, 임대계약 종료시 철거비용을 물어내야할까? (0) | 2020.04.04 |
명의신탁 부동산을 현재 명의자가 마음대로 팔면 횡령죄가 될까?! (0) | 2020.04.04 |
일제강점기에 '강제동원'되어 강제노동하신 분은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을까? (0) | 2020.04.03 |
근로기준법상 최저임금 규제를 피하기 위해 '돈을 더 주는' 대신 '계약상 근로시간'만 줄인다면 합법일까?! (0) | 2020.04.03 |
이 글을 공유하기